여러분은 MBTI를 얼마나 믿으시나요?
직장에서 팀워크를 이해하거나, 친구들과 성격을 비교할 때 빠지지 않는 주제죠.
그런데, 한편으론 "MBTI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들려옵니다.
오늘은 MBTI가 과학인지, 혹은 단순한 재미인지를 찬찬히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
1️⃣ MBTI, 어디에서 왔을까?
MBTI는 1940년대 마이어스(Myers)와 브릭스(Briggs) 모녀가 개발한 성격 유형 검사입니다.

이들은 칼 융(Carl Jung)의 심리 유형 이론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죠. 이 16가지 유형은 다음 네 가지 축을 기준으로 나뉩니다:
- 외향(E) vs 내향(I)
- 감각(S) vs 직관(N)
- 사고(T) vs 감정(F)
- 판단(J) vs 인식(P)
이 조합을 통해, 예를 들어 ‘ENFP’나 ‘ISTJ’ 같은 유형이 탄생하게 됩니다.
2️⃣ MBTI는 과학적일까?
MBTI는 많은 사람에게 유용하다고 느껴지지만, 과학적이라는 주장에는 논란이 있습니다.

🔬 과학적이지 않다는 이유:
- 검증되지 않은 이론 기반
- MBTI는 칼 융의 이론에서 출발했지만, 이 이론 자체가 심리학계에서 실험적 검증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반복 검사에서 일관성 부족
- 한 사람이 MBTI 검사를 여러 번 하면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는 검사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죠.
- 사람을 지나치게 단순화
- 인간의 성격은 유동적이고 복잡하지만, MBTI는 단 16가지 유형으로 이를 구분합니다.
- 이는 개인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긍정적인 생각과 말, 뇌과학적으로 성공과 어떻게 연결될까?
일상에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져!", "좋은 말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라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 그런데 이게 진짜 과학적으로도 맞는 말일까요? 오늘은 뇌과학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생각과
scicoon.tistory.com
3️⃣ 그럼에도 MBTI가 사랑받는 이유
MBTI가 과학적으로 완벽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흥미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쉽고 흥미로운 자기 이해
- MBTI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유형을 통해 자신의 성격을 확인하고, 타인과 비교하면서 재미를 느끼죠.
🤝 대화와 공감의 도구

- 친구나 동료와 MBTI를 공유하며 관계를 이해하는 계기가 됩니다.
- 예를 들어, “나는 ENFP라서 정리 못 해!” 같은 말을 농담처럼 주고받으며 관계를 풀어나갈 수 있죠.
📊 조직 및 팀워크에서의 활용성
- MBTI는 기업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 팀원들의 성격 차이를 이해하고 협업 방식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죠.
4️⃣ MBTI를 더 과학적으로 사용하려면?
MBTI를 전적으로 믿는 것보다는, 참고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시작점’으로 생각하세요.
- MBTI 외에도 더 검증된 심리 검사(예: 빅파이브 이론)를 병행하면 보다 풍부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Big 5 성격검사 링크를 남겨드리니 한번 테스트해 보세요!
- Big5 성격검사 사이트 : https://together.kakao.com/big-five
Big 5 성격검사
성격은 행동과 반응을 결정하는 패턴입니다. 검증된 Big 5 성격검사로 당신이 몰랐던 진짜 당신을 마주해보세요. 모든 테스트를 완료하면 종합분석을 확인할 수 있어요.
together.kakao.com
5️⃣ 결론: MBTI는 과학일까?
엄밀히 말하면, MBTI는 과학적 심리검사로 보기 어렵습니다. 과학이라기보다는 심리학 기반의 참고 자료에 가깝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사람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대화를 나누는 데 있어, MBTI는 여전히 매력적인 도구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MBTI를 어떻게 활용하고 계신가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나눠주세요. 😊
유사과학, 미신과 관련한 재미있는 과학이야기가 더 있답니다!
분신사바, 귀신소환 가능? 과학으로 풀어본 실체
여러분도 어린 시절 친구들과 둘러앉아 “분신사바, 분신사바”를 외치며 손가락을 올려본 적 있으신가요? 손가락이 서서히 움직이면서 “정말 귀신이 오는 걸까?” 하고 두근거리던 순간이
scicoon.tistory.com
강아지 고양이가 귀신을 본다고? 과학이 밝히는 진실
"밤중에 고양이나 강아지가 갑자기 허공을 바라보거나 알 수 없는 방향으로 짖는 것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행동을 보며 반려동물이 귀신을 감지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
scicoon.tistory.com
<임사체험> 유사과학이 아니다? 뇌과학이 밝히는 생사의 경계선
심장마비, 중대한 수술, 혹은 사고와 같은 극한 상황에서 유체이탈이나 천국체험 등 임사체험(Near-Death Experience, NDE)을 경험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임사체험이 마냥 유사과학이 아닌
scicoon.tistory.com
미래를 예측하는 꿈 <예지몽>의 과학적 비밀!
"한 번쯤 꿈에서 본 장면이 실제로 일어났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러한 경험은 우리에게 신비롭게 다가오며, 마치 미래를 예측하는 꿈인 것처럼 느껴지곤 합니다. 이를 우리는 예지몽이라 부
scicoon.tistory.com
'유사과학과 음모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신사바, 귀신소환 가능? 과학으로 풀어본 실체 (1) | 2024.11.21 |
---|---|
과학으로 밝히는 <뱀파이어>와 <늑대인간>의 진실 (0) | 2024.11.18 |
강아지 고양이가 귀신을 본다고? 과학이 밝히는 진실 (0) | 2024.11.17 |
미래를 예측하는 꿈 <예지몽>의 과학적 비밀! (1) | 2024.11.16 |
<임사체험> 유사과학이 아니다? 뇌과학이 밝히는 생사의 경계선 (0)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