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과학 이야기/스포츠 속 과학 이야기

포스베리 플롭(배면뛰기)의 과학: 파리올림픽 우상욱 선수도 하는 기술?

미친과학자 너굴맨 2024. 8. 1. 15:15

오늘은 높이뛰기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인 '포스베리 플롭'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해 볼게요. 파리올림픽에 출전하는 우상혁 선수도 이 포스베리 플롭을 사용하는데요. 포스베리 플롭은 일반적으로 '배면 뛰기'라고도 불리며, 선수들이 가로대를 넘는 독특한 방법이에요. 이 기술이 왜 효과적인지, 그리고 그 속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스베리 플롭(배면뛰기)이란?

딕 포스베리

포스베리 플롭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딕 포스베리(Dick Fosbury)가 사용한 높이뛰기 기술로,

당시 새로운 세계 기록을 세우며 큰 화제가 되었어요.

이 기술은 선수가 등을 하늘로 향하게 하여 가로대를 넘는 방법으로, 당시 전통적인 가위뛰기나 웨스턴 롤과는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이었습니다.

포스베리는 이 새로운 기술을 통해 2.24m의 높이를 기록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고, 높이뛰기의 역사를 새로 썼습니다.

 

포스베리 플롭은 선수의 무게 중심을 가로대 아래로 유지하게 해, 더 높은 도약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장점이 있습니다.

딕 포스베리는 이 기술로 높이뛰기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후 거의 모든 선수들이 이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올림픽 이후 포스베리는 운동선수 생활을 마치고 토목공학을 전공하며 체육계에 기여했고,

그의 업적은 높이뛰기의 기술 발전과 스포츠의 창의성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과학적 원리와 무게 중심

배면뛰기 포스베리 플롭

  1. 무게 중심과 높이뛰기
    무게 중심은 물체의 무게가 집중되는 지점이에요.
    포스베리 플롭의 큰 장점은 무게 중심을 가로대보다 낮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점이에요.
    선수가 공중에서 몸을 뒤로 젖히고 다리를 들어 올리면, 무게 중심이 가로대 아래로 위치하게 돼요.
    이는 선수가 실제로 가로대를 넘는 높이보다 무게 중심이 낮기 때문에,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고도 높은 점프를 할 수 있게 해 줍니다.
  2. 에너지 보존과 효율성
    높이뛰기에서 선수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잠재적 에너지로 변환됩니다.
    포스베리 플롭에서는 선수가 뛰어오를 때 공중에서 몸을 뒤로 젖히며, 무게 중심이 낮게 유지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적고, 이로 인해 선수가 더 높은 높이를 기록할 수 있어요.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즉, 주어진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더 큰 성과를 얻는 것이죠.
  3. 회전 운동과 안정성
    포스베리 플롭에서 중요한 또 다른 과학적 원리는 회전 운동입니다.
    선수가 가로대를 넘을 때 몸을 뒤로 젖히며 회전하는데, 이는 각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따라 몸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안정성을 활용한 것입니다.
    선수가 뒤로 젖혀지면서 발생하는 회전 운동은 착지 시의 안정성을 높이고, 부상 위험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4. 공기 저항의 최소화
    공기 저항은 높은 속도로 이동하는 물체가 받는 저항력입니다.
    포스베리 플롭은 선수가 공중에서 몸을 길게 펴지 않고, 오히려 등과 엉덩이를 먼저 넘기는 방식으로 공기 저항을 줄입니다.
    이는 빠르게 이동하는 동안 몸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가로대를 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포스베리 플롭의 기술적 요소

배면뛰기 포스베리 플롭

  1. 도약
    포스베리 플롭은 도약할 때 다리를 높이 올려 몸을 뒤로 젖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선수의 무게 중심을 최대한 낮게 유지하면서도 가로대를 넘을 수 있게 해 줍니다.
  2. 가로대 넘기
    선수는 몸을 젖히면서 다리와 머리를 높이 올려 가로대를 넘게 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몸의 중심을 가로대와 가깝게 유지하여 공중에서 회전하는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입니다.
  3. 착지
    포스베리 플롭은 등에 착지하는 방식으로, 이는 다른 착지 방법보다 충격을 분산시켜 부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결론

포스베리 플롭은 높이뛰기에서의 혁신적인 기술로, 물리학과 생체역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더 높은 기록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기술은 무게 중심, 에너지 효율성, 회전 운동, 공기 저항 등 여러 과학적 원리를 통해 높은 점프를 실현합니다.

여러분도 이러한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포스베리 플롭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앞으로 높이뛰기 경기를 볼 때, 과학이 어떻게 스포츠에 적용되는지 생각해 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거예요.

 

요즘 파리 올림픽에서 핫이슈인 서핑 속에 숨어있는 과학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도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서핑과 유체역학: 파도 속에서의 과학

 

서핑과 유체역학: 파도 속에서의 과학

서핑은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물리학과 유체역학의 복합적인 원리가 결합된 활동입니다. 서퍼가 파도를 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적 현상들을 이해하면, 서핑의 매력을 한층 더 깊이

scicoo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