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과학 이야기/요리 속 과학 이야기

디저트 배가 따로 있다? – 과학으로 살펴보는 달콤한 진실

미친과학자 너굴맨 2024. 10. 12. 13:54

식사 후 배가 불러도, 달콤한 디저트는 항상 별개로 느껴지지 않나요? "디저트 배가 따로 있다"는 말은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표현인데요, 과학적으로도 이런 현상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오늘은 뇌과학생리학의 관점에서 이 현상을 분석해볼게요!

 

🍬 새로운 자극을 원하는 뇌의 보상 시스템

뇌
도파민 또 너니?

식사를 마쳤더라도 디저트를 보고 다시 식욕이 생기는 이유는 뇌의 보상 시스템 덕분입니다.

  • 도파민 분비: 디저트를 보게 되면, 뇌는 이를 새로운 보상으로 인식해 도파민을 분비합니다. 도파민은 기쁨과 쾌감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인데요, 새로운 자극을 통해 보상을 기대하게 만들죠.
  • 배가 불러도 뇌가 "디저트를 먹고 싶다"고 신호를 보내니, 마치 디저트 배가 따로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겁니다!

 

🍫 감각 특정적 포만 – 다른 맛은 여전히 먹고 싶다

식사로 배가 부른 것 같아도, 다른 맛이 주어지면 다시 식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감각 특정적 포만(sensory-specific satiety)이라고 해요.

  • 예를 들어, 짠 음식을 충분히 먹고도, 단맛은 여전히 먹고 싶을 수 있습니다. 이는 뇌가 새로운 맛에 대해 식욕을 느끼기 때문이죠.
  • 그래서 우리는 메인 요리를 다 먹었는데도 디저트를 먹고 싶은 상태가 되는 겁니다!

 

🍰 혈당과 인슐린 반응 – 당분을 더 원하게 된다

혈당과 인슐린
혈당스파이크가 무서운 나이 ㅠㅠ

식사 후 디저트를 찾는 또 다른 이유는 혈당과 인슐린 반응 때문이에요.

  • 식사 후 혈당이 상승하고, 인슐린이 분비되며 혈당을 조절합니다. 이 과정에서 혈당이 떨어지면서 당분을 더 원하게 되는 경우가 있죠.
  • 그래서 배가 부르더라도 디저트에 대한 갈망이 생깁니다.

 

🍭 위의 확장성 – 여전히 공간이 있다

디저트
아니 진짜로 위가 늘어난다고???

배가 부르더라도, 위의 확장성 덕분에 디저트를 먹을 수 있습니다.

  • 우리의 위는 꽤 유연해서, 이미 먹은 음식으로 가득 차더라도 가벼운 디저트 정도는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생깁니다.
  • 특히 소화가 잘 되는 디저트는 위에 부담 없이 추가로 들어가게 되죠!

 

🍮 디저트와 심리적 만족

디저트를 먹는 것은 단순히 배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보상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 정서적 만족: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나 기쁨에 대한 보상으로 디저트를 즐깁니다. 식사 후 디저트는 이런 정서적 만족을 더해주기 때문에, 배부름에도 먹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거죠.

 

결론: 디저트 배는 정말 따로 있는 걸까?

결론적으로 "디저트 배가 따로 있다"는 말은 뇌과학적 원리, 감각적 변화, 심리적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뇌는 새로운 자극을 통해 보상을 기대하고, 다른 맛이 주어졌을 때 식욕을 다시 느끼게 만듭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우리는 배가 부르더라도 달콤한 디저트를 더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다음번에 디저트를 즐길 때, "디저트 배가 따로 있다는" 과학적 이유를 떠올리며 더 달콤한 시간을 즐겨보세요! 😊

 

디저트배와 관련된 과학이야기 재밌으셨나요? 그렇다면 음식과 관련한 또다른 과학이야기!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처럼 눈을 가리고 음식을 먹으면 맛이 달라질까요?

이를 과학적으로 풀어낸 포스트도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흑백요리사 속 과학] 미각과 뇌과학: 눈을 가리고 먹으면 맛이 달라질까?

 

[흑백요리사 속 과학] 미각과 뇌과학: 눈을 가리고 먹으면 맛이 달라질까?

흑백요리사에서 안성재 쉐프와 백종원 님이 눈을 가리고 심사하는 장면이 크게 화재가 되었는데요! 음식을 먹을 때 우리는 단순히 혀로만 맛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보고 코로 향을 맡고

scicoon.tistory.com